OECD 자살률 순위 통계 현황(우리나라 순위)

728x90

대한민국-자살률-순위
자살률-순위

안녕하세요, 새로워지구입니다.

 

오늘은 조금 무거운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지만, 현실은 때로 그렇지 않은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한 가지 심각한 문제로 계속 주목받고 있는데요, 바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입니다.

 

살다 보면 누구나 힘든 시기를 겪게 되는데요, 그러한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주변의 따뜻한 손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높은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이런 고민을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자살률-순위
자살률-순위

OECD 국가 자살률 순위, 대한민국의 현주소

먼저 최근 발표된 OECD 자살률 통계를 한번 살펴볼게요.

 

2023년 기준,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3.6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는데요. 이 수치는 OECD 평균인 10.7명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그 뒤를 이어 리투아니아(20.3명), 슬로베니아(16.9명), 라트비아(16.5명) 등이 순위에 올랐습니다.

2023년 OECD 국가 자살률 순위 (단위: 100,000명당 자살자 수)

순위 국가 자살률 (명)
1 대한민국 23.6
2 리투아니아 20.3
3 슬로베니아 16.9
4 라트비아 16.5
5 에스토니아 15.4
6 헝가리 15.2
7 폴란드 14.2
8 일본 13.9
9 벨기에 12.5
10 핀란드 11.9

 


왜 이렇게 높은 수치가 나올까?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하게 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경제적 문제, 사회적 압박, 정신적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요. 대한민국의 경우, 사회 전반의 경쟁 문화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학업, 직장, 인간관계 등 모든 부분에서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다 보니 개인이 느끼는 부담이 상당히 큽니다.

 

특히 노년층과 청소년층의 자살률이 매우 높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년층의 경우 고립감과 경제적 어려움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홀로 사는 어르신들이 느끼는 외로움과 사회적 단절이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반면, 청소년층은 입시와 성적, 또래 집단 내 갈등에서 오는 압박감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자살예방상담
자살예방상담 센터

해결을 위한 우리의 역할

24시간 전화상담

자살예방상담 → 국번없이 109
청소년 상담 → 1388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한국 생명의 전화 → 1588-9191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자살 예방 교육을 실시하며,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자살률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 전체의 변화입니다. 주변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힘들어 보이는 이웃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는 작은 행동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작은 행동들이 정말 중요하다고 믿는데요. 한 번은 오랜만에 친구와 진솔한 대화를 나눴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평소 밝은 모습만 보이던 친구가 사실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었던 거예요. 그때 진심 어린 대화가 친구에게 큰 위로가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그 경험 이후로 저도 주변 사람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작은 관심이 만드는 큰 변화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도 혹시 마음속에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있다면, 혼자 힘으로 해결하려 하지 마시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주변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손을 내밀기 전에 먼저 따뜻한 손길을 건네 보세요. 이런 작은 변화가 모여 우리 사회를 더 건강하게 만들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으로 새로워지구였습니다.

728x90